라벨이 베데스다인 게시물 표시

엘더스크롤과 태고 두루마리, 그리고 톨킨 번역지침

이미지
Written by  Nujabes 문학적, 역사적 가치를 차치하더라도 J. R. R 톨킨의 <반지의 제왕> 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판타지 소설이다. 중간계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선과 악의 대전쟁, 입체적이고 다양한 등장인물, 마지막으로 오늘 이야기하고자 하는 번역 문제까지. <성큼걸이, 아라고른 2세> ‘성큼걸이’라는 등장인물이 있다. 원문은 ‘Strider’, 달음박질하다, 성큼성큼 걷다라는 뜻의 동사 Stride를 하는 사람이란 뜻이다. 두네다인의 혈통을 가지고 황무지와 협곡을 주파하는 순찰자로서, 그 정체는 바로 진정한 인간의 왕, 아라고른이다. ‘성큼걸이’라는 단어를 처음 읽었을 때, 필자는 그 말이 주는 울림과 명쾌한 의미, 그리고 그것을 모두 잡아낸 번역자들의 노고에 감탄하고야 말았다.  국내 반지의 제왕 판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판본은 <황금가지> 출판사에서 낸 것과 <씨앗을 뿌리는 사람들> 판이리라. 전자가 보다 규모가 큰 출판사이고, 아무래도 판타지 및 SF 장르를 중점으로 출판하다 보니 더욱 대중적이고 많은 독자에게 친숙하겠지만 필자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판본은 단연 후자다. ‘톨킨 번역지침’을 충실히 따라 옛 순우리말을 적극 활용하면서도 그 뜻을 미려하게 담아냈으니 말이다. 물론 논란도 존재한다. 고유명사의 번역을 놓고 벌어지는 논쟁이 그렇다. 반지 운반자였으며 끝내 자신의 의지만으로 반지를 포기한 빌보 배긴스를 ‘골목쟁이네 빌보’로, 요정들의 고향이자 아름다운 은둔처인 리븐델을 ‘깊은골’로 번역한 것이 과연 맞느냐는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맞다. 설정상 반지의 제왕은 빌보 배긴스가 썼고 프로도 배긴스가 완성한 ‘붉은 책’을 톨킨 옹이 ‘번역’한 책이기 때문이다. 언어학자였던 톨킨은 심지어 ‘반지의 제왕 번역 지침’까지 작성했으며, 씨앗을 뿌리는 사람들에서는 이를 충실하게 따랐다. 빌보 배긴스의 경우 ‘원문’ 이름은 ‘빌바 라빙기’로, 톨킨은 능청스럽게 ...

유저 한글화의 암과 명

이미지
출처: 사이버펑크 2077 공식 유튜브 채널 Written by  Nujabes 자본주의 사회의 다른 모든 상품과 마찬가지로, 게임 또한 재화의 일종으로 수요와 공급의 법칙이 적용되며 시장성이 없다면 제작-유통-판매의 과정도 거치지 않는다. 그러나 자본주의 사회의 다른 모든 상품과 마찬가지로 게임에는 소비자의 취향 또한 반영된다. 오히려 그 어떤 상품보다도 많은 취향이 반영된다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논란이야 있겠지만 게임이야말로 예술의 종착점이고, 예술은 본디 취향의 영역에 놓여 있기 때문에. 그러나 이러한 예술적 속성을 고려하더라도 게임은 앞서 말한 대로 상품이다. 팔아야 하는 것이다. 소수의 매니아층이 있다고 해서 제작사와 유통사의 수익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자, 이런 역경을 지나 게임이 발매되었다 치자. 보다 많은 소비자에게 판매되어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이야말로 제작사와 유통사의 목표일 것이다. 손익 계산을 곰곰이 따져 보자. 동방의 한국이라는 나라가 있다. 시장 규모도 확실하지 않다. 예상 판매량도 가늠이 되지 않는다. 리스크를 고려하더라도 우리 게임을 사랑해 주는 한국의 게이머들을 위해 비용을 들여 한글화를 진행해야 할까? 안타깝지만 지금까지의 상황을, 최소한 몇 년 전만 해도 답은 ‘아니다’였다. 소니가 전면적이고 한글화를 진행한 것은 당시 불모지와도 같았던 한국 콘솔 시장에서 카와우치 대표의 ‘결단’이 큰 영향을 끼쳤다고 알려져 있을 정도로 위험한(?) 시도였고, 대다수의 AAA 게임도 유통사에서 독점으로 판매한 카피에 대해서만 한글 패치가 제공되었으며(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몇몇 대규모 회사를 제외하고는(예: 블리자드) 한국이라는 시장은 그렇게까지 매력적인 시장은 아니었던 것이다. 베데스다의 역작,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만 해도 그렇다. 국내에서 대략 10만장이라는 판매고를 올렸음에도 불구하고 확신이 없었던 탓일까.   유저 한글화의 대표적인 국내 그룹, 팀 왈도 이러한 상황에서 게임을 즐기고 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