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로컬라이제이션인 게시물 표시

게임 로컬라이제이션과 사투리

이미지
Written by  Nujabes 필자는 서울 출신으로 유년기를 경기도에서 보내 사실상 사투리 화자는 아니지만, 아버지는 경북, 어머니는 강원도 정선 출신이라 일종의 피진(pidgin) 을 구사한다. 덕분에 두 분께는 ‘어느 쪽도 제대로 쓰지 못한다’며 타박을 듣곤 하지만, 구사 능력과는 별개로 지대한 애정을 품고 있다. 사투리는 좋다. 국어에 한 나라의 정체성과 문화가 담겨 있다면 사투리에는 한 지방과 가문의 전통과 가족의 정이 들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각 지방의 독특함과 고유성과 문화는 억양과 어휘에 담겨 전해지며 추억 또한 마찬가지다. 이는 세상의 모든 언어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원리일 테다. 그런데 이를 다른 언어로, 번역이라는 기술을 통해 온전히 전달할 수 있느냐는 또 별개의 문제다. 느릿느릿한 미국 남부 방언을 전라도 방언으로, 억센 영국 북부 산악 지대 방언을 강원도 방언으로, 거친 오사카 방언을 동남 방언으로 일괄적으로 옮기는 것은 옳은가? 아닐 것이다. 첫째, 지역 간의 특징이 한 나라와 다른 나라 사이에 일괄적으로 대응한다는 것은 문화적으로나 언어적으로나 어불성설이며 둘째, 이러한 방언을 선택 하여 적용 하는 데에는 일종의 스테레오타입이 반영되어 자칫하면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인상 또한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방언을 번역한다는 것은 번역가에게 대단히 높은 수준의 문화적/언어적 이해도를 요구하기 때문에 기술적으로도 어렵다(번역가는 최소한 도착 언어의 방언은 자연스럽게 구사해야 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사투리는 일반적으로 표준어로 번역되곤 한다. 그렇다면 주제에 충실하게 게임 로컬라이제이션에서의 방언 번역에 대해 살펴보자. 필자의 경우에는 몇 번을 생각해 봐도 최소한 공식 한국어화가 적용된 게임 중에서 사투리가 반영된 게임은 두 개밖에 떠오르지 않는다. 하나는 캡콤의 추리 어드벤처 시리즈 역전재판 이고, 나머지 하나는 락스타 게임즈(Rockstar Games)의 레드 데드 리뎀션 2(Red Dead Redem